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47

스프링 개론 EJB (Enterprise Java Bean) 분산된 환경에서의 객체를 의미 Java Bean이란 자바 객체를 재사용 가능하게 컴포넌트화 시킬 수 있는 코딩 방침을 정의한 것 (bean은 쉽게 component 또는 객체라고 이해하면 좋음) 그리고 Java Bean 스펙에 맞게 구현된 코드를 웹에서 쉽게 사용하기 위해서 JSP 표준 액션 태그를 지원한다. ( jsp:useBean ... ) EJB란 Enterprise 개발을 단순화하기 위해 발표한 스펙 애플리케이션에는 비지니스와 관련된 객체가 많기 때문에, "비지니스 객체들을 관리하는 컨테이너를 만들어서 필요할 때 마다 컨테이너로 부터 객체를 받는 식으로 관리 하면 좋겠다"는 생각으로 부터 탄생. 스프링 탄생 배경 당시 EJB의 개념이 획기적이었기 때.. 2019. 6. 8.
방명록 - 모델2 모든 요청은 Servlet에서 받고, 응답은 JSP로 1. 디렉토리 구조 살펴보기 JSP 파일은 WEB-INF 폴더 하위 views 폴더에 위치한다 - WEB-INF 폴더 하위에 위치하므로, 외부에서 직접 접근이 불가 ( 보안 요소) -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만 가능 (Servlet 이 접근) protected void doGet(HttpServletRequest request, HttpServletResponse response) throws ServletException, IOException { request.setCharacterEncoding("utf-8"); String actionName = request.getParameter("a"); if("deleteform".equals(actionN.. 2019. 5. 16.
방명록 - 모델1 적용 모델1 : JSP 에서 컨트롤러, 뷰 모든 역할을 처리 이름 비밀번호 삭제 이를 이용해 자바코드가 혼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. -------------> 모델 2를 적용해보자 [참고] https://victorydntmd.tistory.com/150?category=719481 2019. 5. 16.
Servlet 개념 1. 톰켓과 web.xml 톰켓은 Servlet Container로 Servlet을 실행하여 동작 웹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할 때 같이 생성한 web.xml 파일에는 클라이언트가 어떤 url을 요청할 때 어떤 servlet 파일을 실행시킬지에 대한 mapping 정보가 담긴 파일. 톰켓은 web.xml 에 매핑되어진 자바 파일을 Servlet 으로 변환, 그 Servlet을 실행하여 요청에 응답 이 때 Servlet으로 변환되기 위해 개발자는 Servlet이라는 것을 명시해줘야 함!! 2. Servlet 기본구조 Servlet으로 변환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음의 구조를 만족해야한다 - 톰켓에서 만들어 놓은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 - HTTP 요청 메소드인 Get, POST 방식을 처리하기 .. 2019. 5. 16.
[Java EE] 톰켓 아파치(Apache) 웹서버 : 80번 포트로 클라이언트 요청 (POST, GET, DELETE) 이 왔을때만 응답 정적인 데이터만 처리 (HTML, css, 이미지 등) 톰캣(Tomcat) 아파치에서 java로 만든 WAS ( Web Applicatiob Server) 동적인 웹을 만들기 위한 웹 컨테이너, 서블릿 컨테이너라고도 불림 웹 서버에서 정적으로 처리할 데이터를 제외한 JSP, ASP, PHP 등 웹 컨테이너(톰켓)에게 전달 아파치톰켓 톰켓이 아파치의 기능 일부를 가져와 제공해주는 형태 https://wodonggun.github.io/wodonggun.github.io/study/ 톰켓은 Servlet을 실행시키며, JSP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실행 할 수 있도록 한다 2019. 5. 16.
[디자인패턴] State Pattern 상태패턴 상태 패턴이란? 객체가 특정 상태에 따라 행위를 달리하는 상황 (-> 상태 변수에 따라 변수와 행위의 결합을 만들어 내는 것) 에서 자신이 직접 상태를 체크하여 상태에 따라 행위를 호출하지 않고, 상태를 객체화하여 상태가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위임하는 패턴 왜 사용하는가? - 상태 변수에 의해 행위가 변경됨 - 이 상태 변수가 행위를 변경하기 위해 조건문을 사용함 - 상태 변수를 체크하기 위한 조건문이 너무 많음 Context : 여러가지 내부 상태를 가질 수 있는 클래스/ request()가 호출되면 상태 객체에게 그 작업을 위임 State : 모든 구상 상태클래스에 대한 공통 인터페이스 정의 ConcreateState : context 로 부터 전달된 요청을 처리하는 구상 상태클래스. (자기 방식으로.. 2019. 5. 2.
[디자인패턴] Interpreter Pattern 인터프리터패턴 문장을 해석할 때 사용하는 패턴. 해석기, 즉 간이언어를 만들기 위한 패턴. 언어 문법이나 표현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. (행동패턴) 특정 컨텍스트를 해석하도록 지시하는 표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도 포함. 이 패턴은 SQL구문분석, 기호처리엔진 등에 사용됨. -> 쉽게 말해,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명령을 쉽게 표현할 수 있게 구문 약속을 해야함. 그리고, 해석자에서는 이와 같이 약속된 구문을 입력 인자로 전달되었을 때 이를 해석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. ex) "2 add 3" 과 같은 표현은 피연산자:2, 연산자: +, 피연산자:3 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. 사용자가 다양한 명령을 쉬운 표현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다. 하지만, 너무 많은 명령에 대한 조합에 대해 해석자 패턴을 적용한다면 .. 2019. 4. 30.